보다 (2) 썸네일형 리스트형 [미래교육자치연구회] 함영기선생님 강의 -질문하는 학생, 사유하는 교사- 함영기선생님의 글과 말에는 힘이 있다.꾸준한 학습의 토대 위에서, 운동으로 옮기는 과정을 거쳐, 행정의 경험까지 갖춘 분이기에 그럴 것이다.2월 18일 오후 7시 30분부터 9시 30분까지 2시간 가량 함영기선생님의 강의를 들었다.이번 강의는 미래교육자치연구회에서 주최한 강의로, "질문하는 학생, 사유하는 교사"라는 제목으로 이루어졌다.와 닿았던 포인트들을 중심으로 기록해 본다. *평가의 성격 1. 아는 것을 묻는다 - 평가의 순간에 알고 있어야 함. - 알고 있다가 까먹으면 지식이 아님. - 항상 기억하고 있어야 한다는 부담 → 반복 암기학습 2. 의견을 묻는다 - 장기간 축적한 지식이 있어야 함 - 본인의 생각을 바탕으로 해야 함 - 많은 독서와 경험이 필요함 → 생각을 키우는 학습*이.. [시청 후기] EBS 당신의 문해력 1부(읽지 못하는 사람들) EBS 당신의 문해력은 리터러시에 대해 다루는 다큐멘터리 6부작이다. 2021년에 방영된 내용이지만 지금도 유튜브 채널 "EBSCulture (EBS 교양)"에 가면 영상을 볼 수 있는데, 그중 1부를 보고 기억에 남는 몇 가지 내용을 간추려 보았다. 1부는 문해력이 저하된 상황과 그 심각성에 대해 이야기하는 내용들로 짜여 있다. 영상은 출연자들이 문해력에 대한 평가를 보는 내용으로 시작하는데, 일상에서 마주하는 부동산 임대차 계약서, 복약지도서 등을 읽고 퀴즈를 해결한다. 시험이 끝난 후, 참가자들은 문제를 풀기 어려웠다며 어려움을 토로한다. 전국 중학교 3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문해력 평가에서는 전체 2,405명의 학생 중 38%에 달하는 학생들이 미달 수준인 것으로 드러났고, 11%는 초등학생 .. 이전 1 다음